완벽 대응하는,
깨끗한 식품을 위한
최고의 필터
그게 뭐지?
HACCP은 두가지 영문 약자
위해요소분석(Hazard Analysis:HA)과
중요관리점(Critical Control Point:CCP)의 합성어로,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이라는 뜻입니다.
식품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이 HACCP에 민감하실텐데
이 HACCP의 기준에 맞춰 Tesllon의
압축공기관리방안에 대하여 소개드립니다.
압축공기는 특히 식품 제조 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어떠한 사례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위 사례 외에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청결하고 안전한 식품 제조를 위해 각 사용처마다
압축공기필터를 반드시 설치하여 관리해주시는게 필요합니다.
필터 선정의 기준은 사용 용도와 구역에 따라 달라지며,
수분, 중금속, 미생물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압축공기필터는 성능에 따라 다양한 등급으로 나누어집니다.(EPA, HEPA, ULPA)
이러한 등급은 국제적인 성능의 지표인 ISO 12500의 기준에 따라 나뉘게 되고,
EPA, HEPA, ULPA 등급 역시 ISO 12500을 기준으로 분류됩니다.
대기 중의 공기를 컴프레셔를 통해 높은 압력으로 압축시키면
공기는 매우 뜨거워지게 됩니다.(=이슬점이 높아집니다.)
그렇기에 드라이어를 이용해 이슬점을 강제로 낮춰 수분을 응결시키고,
저가형 프리필터를 통해 1차적으로 응축된 수분을 걸러줍니다.
긴 배관을 타고 이동하던 압축공기는
용접부 또는 리시버탱크 등 다양한 체적변화를 거치게되며, 또 다시 응축수를 만들어냅니다.
배관이 외부에 있거나, 더운 환경에 있거나, 찬 곳에 있더라도
마찬가지로 이동하면서 새롭게 응축수를 만들어내기 시작합니다.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길이가 길수록 응축수 양은 증가하며,
이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식품 제조 시설에서 수분은
미생물 번식의 가장 큰 요인이므로 각별히 주의하셔야 합니다.
Tesllon의 eSeparator 사용을 추천드립니다.
eSeparator 설치 시,